작성일 2016-07-05
6월 20일(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 아래부터는 ‘농경연’)이 “5월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농가경제조사> 결과를 추가 분석한 결과, 2015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6.5% 상승한 3,721만 원으로 대내외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농가경제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 농가소득을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과 비교한 도농 간 소득격차 비율은 64.4%로 현 정부 들어 57.6%에서 꾸준히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농경연의 이 발표에 농민단체들은 “농촌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통계와 연구결과”라고 반발하고 있다.
농경연은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9.3% 증가하고 전체 농가소득 증가분의 42.1%를 차지해, 농가경제를 호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농가소득에서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개선되어 30%를 회복했다. 정부의 직접지불금이 포함된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15.9% 증가해 전체 농가소득 증가분의 48.0%를 기여했다. 직불금 등 농업생산과 관련된 이전소득(농업보조금)을 포함시킨 광의의 농업소득은 1,292만 원이며, 농가소득 증가분의 45%를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농경연은 “농업생산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규모화된 전업농가의 소득이 크게 상승했고 정부의 직불금 지원 등 공적보조지원으로 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했으며 ‘60세 이상, 1ha 미만의 영세고령 농가’에게 정부의 복지지원 정책이 중요했다. 영세고령농의 소득은 이전소득의 비중이 31.6%로 높은데, 공적보조금 중 농업외보조금이 이전소득의 85.1%를 차지하고 있어 정부의 복지지원정책의 효과가 컸다. 농촌지역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여건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지원, 농지연금 등 정부 복지지원정책이 효과적이다. 또 1ha 미만 농가는 농외소득이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농외소득을 올리는 대책이 효과적이다. 영세고령농가에게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6차 산업과 연관이 높은 겸업 및 다양한 농촌일자리로 근로수입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개발하고, 농외소득이 경기에 의존되지 않도록 보완하는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농경연의 이 발표에 7월 1일(금), 주영신 한국농업경영인합천군연합회 회장은 “농가소득이 늘어 살만해졌다니, 농가 현실을 제대로 알고 한 분석인가? 지난해 가격 괜찮았다고 하는 양파, 마늘값이 현재 하락세다. 물가는 올라가기만 하고 도시와 농촌의 과세 기준은 농촌을 전혀 배려하지 않고 있다. 소 키우는 농가만 조금 살만하다고 하지만, 그쪽도 안심할 수 없고, 쌀전업농은 대농 아니면 여전히 힘들고 앞으로 더 힘들다. 통계청 자료,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자료, 연구가 무슨 소용이냐? 그 결과 발표에 동의할 수 없다. 농민 삶은 점점 농사 짓기 어렵게 곤두박질치고 있다.”라고 했으며 7월 3일(일), 이춘선 전국여성농민단체연합 정책위원장(합천여성농민회 회장)은 “통계청의 <농가경제조사>에서 잡고 있는 여성농민 소득에 농업 외 부업 소득(농한기에 식당이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등의 노동소득)까지 농업소득으로 잡고 있는 점은 명백히 잘못된 방식이다. 물가와 인건비는 늘고 있는데 농산물가격은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마늘·양파값이 잘 나왔다고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시세가 좋으면 정부는 저장물량과 수입물량을 풀어 시세를 낮춰버린다. 올해 마늘·양파값은 또 어떠한가? 농업보조금 부분도 중소규모의 농민에게 혜택이 가는 방식이 아니다. 대농이나 농업으로 들어오려는 대기업을 위한 보조금이라고 할 수 있다. 농경연이 농민을 위한 연구기관이라면, 현실을 반영한 일을 하기 바란다.”라고 반박했다.
농경연은 “이후 농업 관련 분야 전문가, 지자체, 농업인 등이 참여하는 집중 토론 세미나를 열어 향후 관련 정책 발전을 위한 방향을 추가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부디 그 과정에 농민 다수를 차지하는 중소농민의 목소리도 충분히 반영되기 바란다.
- 임임분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