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연재·사람
지역
정치경제
사회문화
주장·기고
알림
PDF판보기
게시판
공지사항
신문구독신청
제보/광고문의
광고
황강신문소개
황강신문이지나온길
인사말
황강신문사람들
찾아오시는길
황강신문협동조합
황강문화협동조합
055-933-7463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
최신기사
연재·사람
지역
정치경제
사회문화
주장·기고
알림
PDF판보기
게시판
공지사항
신문구독신청
제보/광고문의
광고
황강신문소개
황강신문이지나온길
인사말
황강신문사람들
찾아오시는길
황강신문협동조합
황강문화협동조합
연재·사람
HOME
연재·사람
[약이되는 야생초] 맥문동(문동, 맥동)
[황강신문이 만난 사람] 임 춘 지 합천문화예술촌 촌장·합천한의학박물관 관장-2
--- 앞에서 이어집니다. 임춘지, “‘Health, Healing, Happy’가 있는 합천을 위해, 좋은 일자리로 소득도 올리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 ©임임분 경남사립박물관협회 부회장 직을 새로 맡았다고 했다.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이만큼 박물관을 운영해왔고 박물관 유물의 가치도 높고, 무엇보다 가업을 잇고 있으며 나름 그동안의 활동 등을 인정받아 부회장 직에 뽑혔다고 본다. 협회 차원에서 하는 전시회, 소속 박물관의 사업을 지원에 나름의 힘…
[황강신문이 만난 사람] 임춘지 합천문화예술촌 촌장·합천한의학박물관 관장
“전문성 살려 합천 항노화사업을제대로 해보고 싶다” 임춘지, “내 자식부터 고향에서 살도록 부모가 노력해야 하고 군정을 책임지는 이들이 지원해야 한다” ©임임분 1월 13일(화) 오후, 합천문화예술촌에서 임춘지 촌장을 만났다. 아래는 그와 나눈 얘기다.-임임분 기자 자기소개를 해달라.1957년 초계면 내동마을에서 나고 자랐다. 의사인 아버지 따라 초계초, 합천초, 삼가초 거쳐 의…
합천군 세출 예산안 분석:합천군의회 편
합천군청의 당초예산 편성이 완료되며 4,400억여원의 예산이 확정됐다. 주요 예산안 내용을 살펴보며, 합천군청의 예산 쓰임새에 대해 살펴보며 더 나은 합천군정을 궁리해보자. 그 처음으로 합천군의회 예산을 살펴본다. -편집자 증액된 예산 4천여만원 중 대부분이 의장실 쇼파 구입, 노트북 구입 등 물품구매 예산합천군의회의 2016년도 예산규모는 8억5천여만원이다. 군의회 예산은 크게 지방의회 운영 지원과 지방의회 운영 경비 예산으로 나뉘어 있다. 이 중 운영 지원에 8억 3천여만원을…
[이장열전]-53 봉산면 압곡2구 박윤석
조선 숙종 때 판서를 거쳐 영의정으로 추정받은 청숙공 박신규의 후손인 박경유가 신묘사화 뒤 갑오년(1710)에 경북 성주군 청파면 적송리에 있다가 정미년(1720)에 압곡2구마을 본동인 지곡촌에 정착, 다래나무 덩굴을 제거하고 가옥을 세워 생활하면서 압곡2구마을이 이뤄졌다. 지곡촌은 밀양 박씨 집성촌으로, 숙성산 산정평지에 있던 ‘널밭’마을은 감자를 파전해 주식으로 하고 10호 미만으로 살다가 한국전쟁 때 폐촌되기도 했다. 마을 앞엔 1,134미터의 오도산이 있어 뒤에 있는 숙성산과 쌍을 이루어 …
[천유의 건강밥상] 닭고기 마늘볶음
[약이 되는 야생초] - 어성초(약모밀)
<독자인터뷰>-2
지난 호에 이어 독자님 두 분에게 전화와 핸드폰문자메시지로 신문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새해인사, 덕담을 물었다. 이 꼭지는 앞으로도 이어진다. 응답해준 독자님들, 고맙습니다!-임임분 기자김윤수(대병면 회양마을 출신 부산 향우, 남, 75세), “2010년부터 신문을 보고 있고 잘 보고 있다. 고충이 있겠지만 여건이 되면 지면을 늘려 읽을거리가 더 풍성했으면 좋겠다. 합천군민들, 올 한 해 복 많이 받기를 바라고 특히 고향 친구들 건강하길 빈다.”문형규(대병면, 남자), “먹고 살기 점…
[황강신문이 만난 사람] 강석정 전 합천군수
강석정, “군민의 과분한 사랑을 받았다. 문화활동으로 그 보답을 하려고 한다.” ©임임분 자기소개를 해달라.1941년 합천읍에서 나고 자랐다. 합천에는 아내와 둘이 살고, 아들은 외지에 산다.지역정치인으로 활동하게 된 시작이 궁금하다.집안에 농토 없어 농사도 못짓고, 내 또래는 병역자원이 많아 29살까지도 군 영장이 안나와 군미필 상태였는데, 당시는 군미필은 취직도 할 수 없어 30대 초반까지 변변한 직업 없이 지역에서 필경 일을 하면서 지냈다. 그러다 …
[이장열전]-52 용주면 죽죽마을 구정모
죽죽마을의 ‘죽죽’은 신라시대 대야성을 지키다 순절한 죽죽 장군(竹竹, ?~642년. 신라의 화랑. 642년 대야성 전투에서 백제군과 싸우다 전사한 충신)이 탄생한 곳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붙여졌다고 전해온다. 이 마을은 일제강점기 때 봉산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자로 합천군 용주면 죽죽리로 새로 편입되었다. 죽죽마을은 평지마을, 서운마을, 양지마을, 화남마을 등 4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합천댐이 들어서면서 평지마을과 서운마을은 수몰지구가 되었고 현재 양지마을과 화남마을만이…
[천유의 건강밥상] 황기 만삼 백숙
[약이 되는 야생초] 삼백초(삼엽백초, 삼점백)
[빚나는 님]-1 쌍백면 평지마을 문승자씨
우리 곁에 함께 하면서 이웃과 마을, 지역을 위해 작지만 알찬 봉사를 하는 님들을 소개한다. 각 마을에서 소개하고 싶은 좋은, 멋진 이웃이 있으면 제보해주면 좋겠다. 첫 인물은 시각장애인인데도 마을회관 청소를 누구보다 열심히 하고 있는 쌍백면 평지1구마을의 문승자씨다. 주영습 평지1구마을 이장은 “하루 이틀도 아니고 날이 좋든 궂든 회관에 나와 청소하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 덕분에 우리 마을 주민들은 하루를 즐거운 마음으로 시작한다. 형편이 어려운 분이라 늘 안타깝고 마을에서 더 도와…
[이장열전]-51 쌍백면 평지1구마을 주영습 이장
평지마을은 듬밑, 평지, 고정 3개의 자연마을로 나누어져 있다. 듬밑마을은 평지마을의 동북쪽에 있으며 작은 채봉듬이 있어서 마을 이름을 듬밑이라고 한다. 면 소재지 국도 33호선에서 동쪽으로 3.5km 거리에 있다. 평지마을은 평지리의 본동이며 면 소재지 국도 33호선에서 3.3km거리에 있다. 임진왜란 때 군사지로 가마솥을 걸어서 군사들 밥을 지어서 먹는 곳이라 ‘부동’이라고도 한다. 고정마을은 고무새미가 있는 마을이라 ‘고정’이라 부른다. 평지마을의 가장 서쪽에 있고 면 소재지 국도선…
[천유의 건강밥상] 더덕무침
더덕은?~~~성질은 평하고 달며 비, 폐, 신장경으로 들어간다. 건비위, 보폐기, 익신정이며 병후 체력이 약해진 사람이나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으로 당뇨환자에게 좋고 허증으로 인한 만성천식, 신장병, 심혈관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폐와 신장의 허약으로 인한 만성천식, 유정도한,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등에 적합하다.[재료]더덕200g, [양념]설탕1큰술, 청장1/2작은술, 식초1큰술, 다진파1작은술, 다진마늘1큰술, 고추장1큰술, 참기름1/2큰술,깨소금 1/2큰술[초벌…
처음
이전
31
페이지
32
페이지
33
페이지
34
페이지
열린
35
페이지
36
페이지
37
페이지
38
페이지
39
페이지
40
페이지
맨끝
목록